기초연금 모의계산 사이트에서 본인의 소득과 재산 상황을 입력하면 그것을 통해 소득인정액을 계산하고 이것이 선정기준액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소득환산 금액이 기준 안에 들어올 경우, 국민연금 금액에 따라 본인이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 금액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.
기초연금 모의계산 방법
먼저 모의계산 사이트로 이동합니다.
1. 기초사항
- 가구 유형 : 단독가구, 부부가구 중 선택합니다.
- 거주지 : 대도시, 중소도시, 농어촌
*특별시, 광역시, 특례시는 대도시입니다. 도의 '시'는 중소도시, 도의 '군'은 농어촌입니다.
2. 소득 입력
- 근로소득 : 매월 급여를 입력합니다. 일용직이나 공공일자리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는 입력하지 않습니다.
- 사업소득 : 사업 소득이 여기 해당되며 임대소득도 사업소득에 입력합니다.
- 재산소득 : 이자소득과 연금소득을 합하여 입력합니다. 국민연금이 아니라 사적연금을 뜻합니다.
- 공적이전소득 : 국민연금, 산재급여 등 매달 수령 중인 금액을 입력합니다.
- 무료 임차 소득 : 자녀 소유의 집에 거주하고 있고, 집의 공시지가가 6억 이상인 경우 시가표준액을 입력합니다.
※ 추가변경사항
국가유공자, 보훈대상자의 보상금 중 최대 43만 원을 소득인정액에서 공제합니다.
3. 재산 입력
a. 일반재산
- 건축물, 토지, 임차보증금 금액을 입력합니다. 7억이면 '70,000'으로 입력합니다. 시세가 아니라 시가표준액을 입력하는 것입니다.
- 회원권에 골프장, 승마, 요트회원권 등의 시가표준액을 입력합니다.
- 자동차 가격을 조회 후 입력하고 3천 cc 이상인지 미만인지 입력합니다. 3천 cc 이상이거나 4천만 원 이상인 경우 고급 자동차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초연금 수급자격에서 탈락합니다.
b. 금융재산 입력
예적금, 주식 등 금융 재산 금액을 입력합니다. 예금은 3개월 평균 잔고, 주식은 최종가액, 보험은 해약환급금 금액입니다.
c. 부채
- 대출금을 입력합니다. 마이너스 통장, 카드론, 기업대출은 해당되지 않습니다.
- 임대보증금에는 본인 소유 건물에 포함된 임대보증금 금액과 건물의 시가표준액을 입력합니다. 한 채에 한하여 50% 범위 내에서 부채로 인정됩니다.
4. 모의계산 결과
결과는 위 이미지와 같이 나옵니다. 소득기준은 23년 기준으로 1인 가구 202만 원, 부부 가구 323.2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수급대상자가 됩니다.
기초연금 신청시기
신청시기는 만 65세 생일이 있는 달의 전 달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.
예를 들어서 만 65세가 되는 생일이 2월 1일 이면 1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2월 25일 에 지급됩니다.
기초노령연금 지급액
2023년에 인상되었으며, 지급기준액이 30만 7500원 -> 32만 318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* 기초연금 기준액은 1인 가구 최대 32만 3180원이며 부부 가구의 경우 20% 감액된 517,080원(부부 합산)이 최대 금액입니다.
지급액 계산방법
단독 가구 기준으로 국민연금 금액이 월 48만 4770원 이하이고 소득환산액이 169만 6820원보다 낮으면 전액을 받게 됩니다.
- 국민연금 금액이 위 금액 이상이라면 국민연금의 A급여를 이용하여 계산 후 감액됩니다.
- 소득금액이 위 금액보다 높다면 소득역전현상 방지를 위해 초과한 만큼 감액됩니다.
※ 함께 보면 좋은 글
2023 최저임금 시급, 최저월급, 주휴수당 정리
"난 얼마나 받을까?"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및 더 받는 방법 알아보기